[노트북을 열며] 미국과 중국 사이, 호주의 ‘뚝심 외교’

강혜란 국제부장
미국·영국·호주 정상들 등 뒤로 펼쳐진 캘리포니아 바다에 버지니아급 핵추진 잠수함이 떠 있다. 3국 안보협의체 오커스(AUKUS)가 호주에 공급하게 될 미주리함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노트북을열며미국과중국사이호주의뚝심외교주식 패턴 분석 리시 수낵 영국 총리와 함께 카메라 앞에 선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얼굴이 밝았다. 엊그제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오커스 정상회의 결과 미국은 1950년대 영국 이후 처음으로 호주에 첨단 핵기술을 공유해주게 됐다. 미국의 통 큰 결심은 두말할 나위 없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팽창을 견제하기 위해서다. 앨버니지 총리도 “호주 정부는 국방에 투자할 결의가 돼 있다”고 화답했다.
![오커스(AUKUS) 회담 결과를 설명하는 앨버니지 호주 총리, 바이든 미국 대통령, 수낵 영국 총리(왼쪽부터). [AP=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3/16/76874ce1-a9b4-4a8c-be69-8008570d831e.jpg)
오커스(AUKUS) 회담 결과를 설명하는 앨버니지 호주 총리, 바이든 미국 대통령, 수낵 영국 총리(왼쪽부터). [AP=연합뉴스]
이렇게 보면 호주가 중국과 ‘한판 대전’을 벼르는 것 같지만 오히려 중국은 호주에 최대 교역국이다. 지난해 호주 무역의 3분의 1이 중국과 이뤄졌다. 화웨이·코로나19 등으로 틀어져 2019년 이래 중국으로부터 소위 ‘경제 보복’을 당했어도 이렇다. 오히려 호주산 석탄을 수입 금지했던 중국이 극심한 전력난을 겪었다. 중국은 지난해 앨버니지 노동당 정부가 출범하자마자 화해 손짓을 먼저 했고, 최근 호주산 석탄과 면화의 수입을 허용하는 등 통상 마찰을 ‘없던 일’로 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호주는 무슨 배짱으로 중국에 맞짱 뜰 수 있던 겁니까.” 최근 한국여성기자협회 주관으로 ‘인도태평양 안보전략 현장’ 취재차 호주를 방문한 동안 입에 달고 다닌 질문이다. 누굴 만나도 대화는 돌고 돌아 ‘중국’에 이르렀다. 특히 스콧 모리슨 전임 정부의 강대강 외교를 ‘확성기 외교’(megaphone diplomacy)라고 비토하던 노동당이 집권 후엔 전임 정부의 주요 대중국 정책을 계승하는 게 인상적이었다. 노동당은 오커스 협정 체결 당시만 해도 절차상 문제 등을 들어 질타했지만 이젠 잠수함 건조가 안보 동맹을 두껍게 하고 일자리 수만 개를 창출한다며 현 정부 치적으로 홍보하기 바쁘다.
“전임 정부에 대한 비판과 별개로 중국에 대한 호주의 입장은 원칙적으로 일관됐다.” 지난 6일 만난 팀 와츠 호주 외교부 부장관의 말이다. 원칙이란 한마디로 ‘국익’이란다. “중국 관련 문제에서 역대 호주 정부는 초당적으로 정책을 지지·유지해왔다”면서 “중국과 협력이 가능한 부분은 함께 하되 근본적 이익이 걸린 문제엔 우리 목소리를 내겠다”고 했다. 넓은 국토가 품은 광대한 천연자원, 미·영과 끈끈한 가치 동맹 등 ‘뒷배’가 없고선 쉽지 않은 일이겠지만 “단기적·정치적 이익이 아닌 장기적·국가적 차원에서 대응한다”는 원칙이 새삼스러웠다.
강혜란 국제부장
-
정운천 의원 출판기념회 성료"호기심에 해봤다" 학원가 옥상서 감기약으로 마약 제조한 30대문 대통령, 당분간 김오수 총장 면담 안할듯밀가격 올라 가격 인상한다던 '라면과 과자'…밀가격 하락에 가격 올렸다美 10월 산업생산 1.1%↑…월가 1.0%↑ 예상 상회 < 국제뉴스 < 기사본문연내 분양 막차 타볼까…수도권 2.7만가구 나온다새벽 아파트 대피 소동…분리수거장 불 낸 입주민은 횡설수설메리츠금융,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1조 7997억…전년比 3%↑[박경렬의 미래를 묻다] 우리는 AI를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사설] 의료대란 부를 간호법 강행 처리, 대결 접고 합의로 풀라
- ·[시론] 북핵 자금 차단, 기업인 보안의식에 달렸다
- ·[6·1 지선 여론조사] 전북교육감
- ·"호기심에 해봤다" 학원가 옥상서 감기약으로 마약 제조한 30대
-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 디지털 체험관 개관
- ·진보당 강성희 vs 민주당 양경숙, 지역 현안 치적 놓고 ‘신경전’
- ·"호기심에 해봤다" 학원가 옥상서 감기약으로 마약 제조한 30대
- ·농협중앙회, 농업인 날 맞아 '함께하는 100년 농촌' 비전 선포
- ·"왼쪽 눈썹 위 사마귀"…대구서 전자발찌 끊고 도주한 그놈
- ·민노총 손 들어준 정치권, 파업 해결 전환점 만드나
- ·[분수대] 한한령 악몽
- ·'부산 돌려차기' 피해자 앞에서…"그건 검찰 탓"이란 법원장
- ·윤석열 초대 내각 2차 발표... ‘무늬만 전북 장관’
- ·“실거주 의무 푼다더니…” 입주 앞둔 4만가구 혼란|동아일보
- ·[6·1 지선 여론조사] 전북지사
- ·관광객, 결국 제주에 등 돌렸다…여름휴가 만족도 1위→4위 뚝
- ·[사설] 한·일 경제협력 확대로 미래 세대에 더 큰 기회를
- ·이스라엘군, 서안서 20여년만에 항공기까지 출동 최대 작전…최소 8명 사망
- ·김헌동 SH공사 사장 "통계조작 맞다, 김현미는 국토조작부 장관"
- ·수제 화식 사료로 한우 사육 성공 레시피를 만들다|동아일보
- ·윤석열 초대 내각 2차 발표... ‘무늬만 전북 장관’
- ·미·중 고위급 대화 재개 합의
- ·[이은혜의 마음읽기] 당신은 어떤 메일을 보내시나요
- ·응급실서 매년 300명 숨진다…"전남에 의대 신설을" 의원들 삭발
- ·아침의 문장
- ·제네바공항 파업 예고…30일 오전 6∼10시 항공편 운항 중단
- ·“온·오프라인 유통채널 공략”… 청년농 판로지원 사업 인기|동아일보
- ·[안태환의 의학오디세이] 플라세보 정치, 노세보 정치
- ·박완식 우리카드 사장, 영등포 시장 찾아…현장 목소리 청취
- ·역대 최악의 전북지선, 각종 정치공작 '횡행'
- ·주 52시간제, 일부 업종·직종 완화한다
- ·[사설] 만 65세 인구 3%→19%대, 노인기준 상향 논의 시작할 때
- ·서울시, 여의도 한양 재건축 '제동'…위법사항 시정 지시
- ·한전 10분기 만에 흑자냈지만…앞길은 캄캄
- ·전기톱으로 요양보호사 위협·경찰관에 흉기 휘두른 50대 징역형
- ·[박경렬의 미래를 묻다] 우리는 AI를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 ·[사설] 윤 대통령 방미 폄훼·옹호 넘어 여야가 머리 맞대야